분류 전체보기(52)
-
[NODE 강의] body-parser?
[클립명] 1. form (body-parser) 2. 정적파일 3. Global View Variable body-parser란? body-parser는 미들웨어이다. 즉,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사이에서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그렇다면 역할은 무엇일까? 바로 요청의 본문을 지정한 형태로 파싱해주는 미들웨어이다. 아래의 테스트 코드에서 req.body를 콘솔로그로 출력해보면 undefined가 출력된다. 즉, Node.js의 웹프레임워크인 Express는 요청을 처리할 때 기본적으로 body를 undefined로 처리하고 있는 것이다. app.get('/test', (req, res) => { res.send('test'); console.log(req.body..
2021.03.03 -
[NODE 강의] View Engine / 미들웨어 란?
[클립명] 1. view engine 2. 템플릿 상속 3. 미들웨어 View Engine이란? Node.js에는 View Engine이라는 시스템이 있다. 뷰엔진은 서버에서 처리한 데이터 결과값을 정적인 페이지(HTML 파일)에 보다 편리하게 출력해주기 위해 사용한다. 뷰엔진에서 요구하는 형태로 템플릿 파일(문서)을 만들고, 해당 템플릿 문서에 서버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전달하면 해당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백엔드 로직을 작성하는 자바스크립트 파일 안에 HTML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좀 더 MVC 패턴에 맞게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뷰엔진에서 요구하는 문법에 맞춰 코드를 작성하면 뷰엔진이 자동으로 html 파일로 렌더링해주기 때문에 HTML파일보다 좀 더 간결하고 구..
2021.02.25 -
[NODE 강의] Express 란?
[클립명] 1. Express 시작 2. nodemon 3. Routing Express란? Express는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일련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간결하고 유연한 Node.js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사실상 Nodejs의 표준 웹서버 프레임워크로 불려질 만큼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Node.js와 Express는 무슨 관계인가? 이전 글에서 Node.js는 Chrome의 V8엔진을 이용하여 javascript로 브라우저가 아니라 서버를 구축하고, 서버에서 JavaScript가 작동되도록 해주는 런타임 환경(플랫폼)이라고 했다. Express는 이런 Nodejs의 원칙과 방법을 이용하여 웹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왜 Express 를 사용..
2021.02.24 -
[NODE 강의] Npm(Node Package Manager)이란?
[클립명] 1. 에디터 설치하기 2. 모듈패턴 3. npm NPM(Node Package Manager)이란? node.js 를 배우기 위해서는 npm이라는 것을 필수로 알아야 한다. npm은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패키지 관리자이다.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 node.j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이다. 즉 자바스크립트로 개발된 각종 모듈의 설치, 업데이트, 구성, 제거 과정을 자동화하여 관리해주는 기능이다. 쉽게 말하면, 자신이 만든 모듈을 배포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만든 모듈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npm은 node.js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함께 설치된다. node.js 설치 후 cmd 창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여부 및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
2021.02.17 -
[NODE 강의] Node.js 란?
Node.js 라는 것을 들어본지는 벌써 몇 년 전이다. 하지만 Node.js에 대해 공부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막연하게나마 '자바스크립트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서 서버쪽 로직을 짤 수 있다'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이제 Node.js에 대해 공부하기로 했으니, Node.js가 대체 무엇인지 알아볼 필요가 생겼다. node.js 공식 사이트(nodejs.org/ko/)에 가보면,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라고 정의가 돼 있다. 이게 대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Node.js에 대한 오해 다른 개발자들과 대화하다가 '너가 지금 개발하는 서비스는 서버가 뭐야?' 라는 물음에 '노드제이에스요.' 라는 답변을 들어서,..
2021.02.16 -
백준 알고리즘 문제 풀기 (자바 제출 유의사항)
2021년부터는 좀 열심히(?) 살아보자는 마음에 알고리즘 공부도 하기로 했다. 유명한 백준 사이트에서 아예 레벨1부터 차근차근 시작하기로 하고, 문제를 풀면서 몰랐던 내용 등을 블로그에 정리해볼 생각이다. 레벨1 첫번째 문제인 Hello World를 출력하는 문제를 풀고, java로 제출해보니 채점결과가 컴파일오류. 분명히 vscode에서 작성한 소스는 문제가 없는데, 백준에 제출하면 컴파일오류가 발생한다. 구글링 결과, 백준에서 java로 답안을 제출할 때는 반드시 클래스명을 Main으로 작성해야 한다고 한다. /** 처음에 클래스명을 B_2557로 만들어서 vscode에서 실행하면 문제 없지만, 백준에서는 컴파일 오류 발생하기 때문에 클래스명을 Main으로 변경하여 제출해야 함 */ public c..
2021.01.23